![<strong>[사진]_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경기 하남갑, 국방위)</strong>](http://www.kitvnews.co.kr/data/photos/20250729/art_17524644694526_2655ea.jpg?iqs=0.5999135754049554)
[ 한국미디어뉴스 김서안 기자 ] 국가안보실이 지난해 1월 드론작전사령부(이하 드론사)의 소형 자폭드론 전력 확보를 직접 논의하고 시제품 제공과 시험을 재촉한 사실이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경기 하남갑, 국방위)은 14일, “국가안보실이 무인기 침투를 사전에 준비한 것 아닌지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며 조은석 내란 특검의 조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추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초 국가안보실은 ‘드론사 전력확보 관련 현안회의’를 주관하고, 회의에서 소형 자폭드론 도입 추진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의는 당시 인성환 국가안보실 제2차장(육사 43기, 예비역 소장)이 주도했으며, 국방부, 드론사,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국방부가 추 의원실에 제출한 「2024년 8월 드론사 소형 자폭드론 사업 제안서 평가계획」에 따르면, 인 차장은 회의에서 참석자들에게 “남은 시제기 몇 개가 제공 가능한가”, “탄두 시험이 가능한가” 등을 질문하며, “정찰 및 타격형 드론을 만들자”, “아무것도 안 하고 뭐하고 있나. 빨리빨리 해야 한다”, “왜 후속 사업이 없나. 제안서를 달라”고 강하게 재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의 직후인 2024년 1월 말, 국과연은 드론사에 소형 자폭드론 7대를 무상 증여했다.
이 가운데 6대는 탄두가 없는 정찰형 드론이고, 1대는 실제 탄두를 탑재한 자폭형 드론이었다. 이후 3월에는 인 전 차장이 드론사를 직접 방문해 업무보고를 받은 사실도 확인됐다.
추 의원은 “국가안보실이 국과연을 압박하고 드론사에 시제품을 제공하도록 한 것은 당시 안보실이 사전에 무인기 침투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었던 정황으로 해석될 수 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 국가안보실의 개입 여부를 조은석 특검이 조속히 소환조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 회의는 윤 전 대통령이 재임 중 신원식 당시 국방부 장관에게 소형 자폭드론 도입 추진을 보고받은 시점과도 맞물려 있어, 향후 특검 수사 방향에 중대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