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덕성여자대학교(총장 김건희) 미술사학전공 학부 및 대학원생들의 연합 프로젝트팀 ‘미락(美Rock)’이 주관하고 미술융합콘텐츠연구소가 주최한 제3회 돌탑제 〈2025 돌탑제: '우이'의 '우리'를 엮다〉 공공예술프로젝트가 10월 15일과 16일 양일간 덕성여대 정문 앞 우이천변에서 진행되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로 3년째를 맞이한 돌탑제는 지역사회와 예술을 매개로 ‘우리’를 다시 생각해보는 자리로 기획되었다. 올해 주제 ‘우이의 우리를 엮다’는 ‘다름’에 대한 혐오와 배제가 팽배한 시대 속에서,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이해하며 ‘우리’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학생들은 이러한 의미를 ‘연결’의 행위로 시각화하기 위해, 작은 천조각들을 실로 엮어 브로치를 만드는 참여형 예술 활동을 진행했다. 행사에는 약 200여 명의 학생, 교수·직원 및 지역주민이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각자의 천조각을 실로 잇고, 서로의 마음을 나누며 ‘우리’를 만들어가는 시간을 가졌다. 완성된 브로치는 각자의 ‘우리’를 상징하는 기념물로, 행사 이후에도 지속적 공감과 연대를 이어가기를 바라는 의미의 상징성을 내포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한 팀 미락의 이채현·김예원(미술사학·문화콘텐츠전공 석사과정) 학생은 “올해 돌탑제는 ‘쌓기’에서 ‘엮기’로 변주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었다”며, “우리가 서로 다르지만 함께 엮일 수 있다는 믿음을 예술로 표현해 보고 싶었다”고 전했다.

행사장을 찾은 한 학생은 “작은 천 조각이 모여 하나의 작품이 되는 과정이 인상 깊었다”면서 “지역과 학교가 함께 만들어가는 따뜻한 행사였다”는 소감을 전했다. 또한, 행사 취지에 공감한 지역주민 일부는 먹거리를 나누고 담소를 전하며 따뜻한 응원을 보내 주기도 했다.
덕성여대 미술융합콘텐츠연구소장 정수희 교수는 “돌탑제가 3년째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학생들의 자발적 기획력과 지역사회의 참여 덕분이다. 올해는 ‘연결’이라는 주제 아래 예술의 공공성과 공동체 의식을 더욱 깊이 있게 보여 주었다”면서 “앞으로도 예술을 통해 지역과 대학이 함께 호흡하는 의미 있는 공공예술의 장으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희망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정수희 소장 및 기획팀들의 공통적인 바램은 “매년 가을 우이천을 배경으로 이어지는 〈돌탑제〉는 학생과 지역주민 모두에게 점점 사랑받는 행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면서 “작은 돌 하나, 작은 천조각 하나가 쌓이고 엮이며 만들어내는 따뜻한 연대의 풍경이, 모두의 마음속에도 오래 남는 예술의 기억으로 이어지는 것”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