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기선 기자 ] 앞으로 지자체별로 축적된 지방재정 데이터를 모든 지자체와 공유하고, 지역 경제‧사회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기능을 제공하여 지자체 정책수립 시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행정안전부는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e호조+(플러스)) ’구축 3단계의 일환인 지방자치단체 정책지원시스템의 시험 운영을 완료하고, 8월 28일(월)부터 전 지자체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과 협력하여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단계별로 구축해 왔다.
지난해 8월에는 1단계로, 243개 지자체별로 분산된 시스템을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고 지차체 예산편성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해 1월부터는 2단계로 예산집행, 계약, 자금, 자산, 부채, 세입세출외현금 등 총 470여 조(예산현액기준)의 지방재정 운용과 중복·부정 수급 방지 등을 위한 지방보조금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개시되는 정책지원 서비스는 2007년부터 축적된 지자체의 세입, 세출, 결산 등 지방재정 데이터와 통계청 등의 지역경제‧사회 데이터를 활용하여 8천여 개의 지표를 530여 개의 화면으로 제공한다.
첫째, 종합지역현황을 통해서 지방재정과 지역경제‧사회 현황을 전국, 시‧도, 시‧군‧구 단위까지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하여 지자체 간 비교 분석의 활용도를 높인다.
둘째, 데이터 기반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통계정보를 사용자 관점에서 도표, 차트 등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지자체 모든 사업에 대해 예산서와 결산 정보를 산출 근거 단위까지 상호 조회할 수 있도록 하여 지차체 간 정보의 공유를 강화했다.
셋째, 지역상황 전망에서는 빅데이터 기반을 활용하여 재정규모, 사회복지분야 등 재원분담추이, 당해연도집행추계와 가용재원 추계를 제공한다.
2024년부터는 유동인구, 카드사용 등 민간데이터를 활용한 지역경제‧사회 분석을 확대하고 지자체 가용재원 예측 등의 분석모형을 개발하는 등 미래전망 지표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행안부는 데이터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지자체 일반 공무원들이 보다 쉽게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언어모델(챗GPT 등)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지속적인 고도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 도표, 차트 등으로 분석하고 결과를 생성함으로써 업무 활용 방법이 획기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병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지자체의 중요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활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정책 수립 시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라며 “앞으로 지자체 뿐 아니라 학계‧연구원 등으로 사용 대상을 점진적으로 넓혀 나가 지역 정책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