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보영 기자 ]
추사 선생 고택 및 유적지 인근, SK 폐기물매립장 즉각 철회 촉구!
인근에 천연기념물 백송, 추사 필적 암각문, 천년 고찰 등
30일 오전 11시부터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추사 김정희 세계화사업회, (사)상촌추사선생기념사업회 등 역사단체와 글로벌 에코넷, 환경전문가그룹, 행·의정 감시네트워크,기업윤리경영을 위한 시민사회단체협의회등 환경시민단체들은 “SK 기업 사익추구를 위한 산업 폐기물매립장! 결사반대!” 기자회견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예산군과 SK에코플랜트가 추진 중인 예산 조곡 그린컴플렉스 일반산업단지(조곡 산단)는 충남 예산군 신암면 조곡리와 예림리 일대에 147만 4,115㎡(44만 평) 규모로 일반산업단지를 조성사업이고, 특히 조곡 산단 내에 산업폐기물 매립장을 건설을 추진을 위해 환경영향평가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조곡 산단 반대 주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서 충남도청 앞, SK 본사 앞 집회와 기자회견 등 ‘조곡 산단 조성 반대’를 주장하고 있다.
기자회견을 주최한 김기숙 추사 김정희 세계화사업회 대표는 SK가 조성하는 조곡 산단 주변에 ▲300m 지점 추사 필적 암각문(충청남도 기념물 151호) ▲천년 고찰 화암사 ▲800m 인근 추사고택(유형문화재 43호) ▲추사유적(기념물 24호) ▲추사 묘역(문화재자료 188호) ▲화순옹주 열녀문(유형문화재 45호) 등 문화유적 등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추사고택 인근에 백송 나무는 선생이 25세 때 중국 연경에서 백송의 씨앗을 가져와 심고 키운 천연기념물 106호가 있다면서, 이런 문화재와 유적들이 SK 조곡산업단지 조성으로 폐기물매립장이 들어서면 추사 김정희 예산 고택 일대는 ▲악취 및 비산먼지의 대기 질 악화 등 환경에 영향을 끼쳐 문화유산이 훼손 될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지도자는 국가유산의 미래지향적 활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정신을 올바로 알아야 한다, 면서 서울시가 지난주 광화문 일대 경희궁지에 역사 정원 조성과 돈의문 박물관 마을 등 복원으로 서울광장 10배 규모의 역사문화 및 자연공원을 조성하는 것을 본받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연대 발언에서 경주 김씨 김성환 종인은 역사를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면서 선조들이 가꿔온 문화유산과 청정한 자연환경을 우리 손으로 훼손할 수는 없다면서 재계 2위 SK는 산업 폐기물매립장 철회를 촉구했다.
김선홍 글로벌 에코넷 상임회장은 기자회견 진행에서 “조성될 조곡산업단지 44.6만 평 중 약 1만 평에 지하 30m, 지상 15m 산업폐기물 매립장을 만들 계획 중, 이고 ‘명칭은 자원순환시설’로 포장해서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SK는 7,953명 피해자 발생, 1,861명 한 사망한 가습기 살균제 참사 원조 기업으로 1심 무죄가 뒤집혀 항소심에 SK 전 대표가 금고 4년 실형을 받고 대법원에 최종 결심을 앞두고 있는데 청정지역과 충청남도 지정 유형문화재, 문화유산 등이 있는 곳에, 또다시 산업 폐기물매립장 조성 계획을 세우니 세상 이런 대기업이 없다면서, 손가락질받을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대기 질과 악취에 대한 예산군에 질의한 답변에는 추사고택 지역에 영향이 미미하다는 답변이었으나 지역 주민들은 현장 풍향은 직접 영향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근거로는 현재 주변 퇴비를 뿌려놓은 지점에서 바람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단체를 자문하는 환경전문가 그룹에서도 “바람 장미에도 의한 주 풍향은 남서(SW)풍으로 대기 질 확산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이 우려되는 지역에 있다고” 재차 대기, 악취 영향권을 강조했다.
인근 주민들은 SK는 "조곡 산단보다 산업폐기물 처리장 건설에 목적이 아닌지 의심한다."라는 주장도 있다.
현행법상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 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은 50만 제곱미터 이상의 산업단지를 건설할 경우 산업단지에 폐기물 처리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규모가 약 147만 제곱미터인 조곡산업단지도 폐기물 처리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기자회견을 마치고 종로 SK 본사 앞으로 이동한 역사단체와 환경시민단체들은 산업 폐기물매립장 즉각 취소 등 구호를 외치면서 집회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