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0℃
  • 흐림강릉 12.9℃
  • 서울 17.9℃
  • 구름조금대전 23.1℃
  • 구름조금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0.9℃
  • 흐림부산 17.9℃
  • 구름많음고창 20.5℃
  • 구름많음제주 17.6℃
  • 구름많음강화 15.6℃
  • 구름조금보은 20.5℃
  • 구름많음금산 22.9℃
  • 흐림강진군 18.7℃
  • 맑음경주시 23.5℃
  • 구름많음거제 17.2℃
기상청 제공

과거가 현재를 돕는다

인천시 계양구 장기리 일대에 자리잡고 있던 ‘황어장터’는 일대가 잉어의 산지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일제 강점기 인천지역을 대표하는 소 매매시장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1919년 3월 24일 평화로운 소 시장이었던 이곳에서 천도교도 심혁성 지사는 300여명의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들고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일본 순사에게 체포되었고, 체포에 항의하는 200여명의 주민들에게 일본 순사가 칼을 휘둘러 군중 속에 있던 이은선 지사가 칼에 찔려 숨졌습니다. 또한 만세운동에 참여한 40여명의 주민이 일제에 붙들려 모진 고문을 겪고 옥고를 치러야 했습니다. 황어장터 만세운동은 당시 강서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운동 중 최대규모였으며, 만세운동이 전국으로 퍼져나가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1919년 3월 인천지역에서는 황어장터 만세운동 이외에도 인천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의 동맹휴학 및 만세운동, 소래면 주민들의 소래산 만세운동 등 주민들의 시위참여가 봇물을 이뤘습니다.

 

대한제국 충청도 검찰청 검사를 역임한 홍진 지사는 3·1운동이 일어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주요인사들을 규합하여 인천 만국공원에서 한성 임시정부의 수립을 선포합니다. 이후 건립요인들과 함께 중국 상해로 건너가 통합 임시정부인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위원, 임시의정원 의장 등을 지내며 광복 시까지 임시정부를 이끌었습니다.

 

강화 출신의 권애라 지사는 유관순 지사와 함께 이화학당에서 공부하였고 졸업 후 호수돈여학교 부설 유치원 교사로 재직하였습니다. 권지사는 1919년 3월 1일 동료들과 함께 독립선언서를 개성 시내에 배포하고 학생들과 만세시위를 모의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이후에도 임시정부 국내 조직원으로 독립자금을 모금하는 등의 독립운동을 계속하였습니다.

 

인천을 포함한 전국 방방곡곡에서 심혁성, 이은성, 홍진, 권애라 지사와 같은 각계각층의 국민들이 만세운동에 참여하자 일제의 탄압이 거세게 몰아칩니다. 3·1운동 시작 이후 3개월 동안 시위진압 과정에서 7,500여명이 사망했고, 15,000여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46,000여명이 구금되었습니다. 이는 일제의 통계에 의한 숫자로 실제 목숨을 잃고 감옥살이를 한 분들은 이보다 훨씬 많았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일제의 무도한 식민통치에 맞서 전국적으로 전개된 우리의 평화시위는 전 세계에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 의지를 알리고 식민지배를 받던 약소국의 독립의지를 일깨우는 데에 큰 영향을 주어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이 일어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우리 민족은 3·1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 방식을 체계화하고 독립운동 세력을 통합하여 상해 임시정부를 수립하였습니다.

 

1945년 광복을 맞을 때까지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총칼에 맞서는 의병활동으로, 침략의 원흉을 단죄하는 의거로, 탄압에 굴하지 않는 만세운동으로 독립을 위한 희망과 의지를 지켜냈습니다. 그러하기에 1945년의 해방이 연합군의 승리로 거저 얻은 행운이었다고 말하는 이들에게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고 나서 말하라고 이야기해주고 싶습니다.

 

황어장터에서 만세를 부르다 숨져간 이은성 지사처럼 자신의 목숨을 바쳐 조국의 독립을 외친 분들이 있었기에 우리 민족은 독립의지를 놓지 않고 식민지라는 어두운 터널을 통과해 광복을 맞이할 수 있었습니다. 끈질긴 투쟁으로 마침내 해방을 이룬 선열들이 있었기에 오늘 날 우리는 민주공화정의 시민으로서 민주주의가 흔들리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조치를 성숙하게 해나갈 수 있습니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가 2024년 말 스웨덴 한림원 강연에서 한 얘기처럼

‘과거가 현재를 돕고, 죽은 자들이 산 자를 구한다.’는 것을 3·1운동과 이후 이어진 우리의 독립운동, 민주주의 항쟁을 돌아보며 ‘정말 그렇구나.’하며 공감하게 됩니다.

 

3·1운동 106주년과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2025년, 지금 우리가 지나고 있는 이 시간이 앞으로 혹시 올지 모를 위기상황에서 미래세대가 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용기와 희망을 건네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봅니다.

 

인천 보훈지청 보훈과 한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