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인천지역 교통안전 강화를 위한 민·관 합동 ‘사업용 교통안전 협의체’ 제2회 회의가 25일(금)에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인천본부(본부장 안호영)를 비롯해 한국도로공사(인천·시흥·군포지사), 신공항하이웨이(주), 인천대교(주), 인천김포고속도로(주), 제이서해안고속도로(주), 전국화물자동차공제조합 인천지부, 고속도로순찰대 제11지구대 등 9개 기관·운영사·조합이 참여했다.
이번 회의는 유관기관 간 협업을 통해 사업용 화물차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도로 안전시설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앞서 열린 1차 회의에서는 지속적인 교통안전 관리에도 불구하고 화물차 운전자의 인적 요인에 따른 사망사고가 늘어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안전대책과 운전자의 안전운전 유도를 중점적으로 논의한 바 있다.
2차 회의에서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인천본부가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에 관한 교육을 진행했다. 해당 교육은 타 기관에서도 전문적인 법·제도에 대한 지식과 실무 적용 사례에 대한 수요가 높은 점을 반영해, 실제 사례 사진을 공유하며 업무 이해도를 높이고 실질적인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됐다.
이날 전국화물자동차공제조합 인천지부는 고속도로 내 적재량 측정 차로에 대한 유도표지 및 시설 보완 필요성을 제기했다. 최근 4.5톤 이상 화물차의 측정차로 위반에 대한 고발 기준이 강화되면서, 주황색 유도선을 따라 측정 장비가 설치된 차로로 정확히 진입해야 한다. 그러나 하이패스 톨게이트에서 착오로 다른 차로에 진입한 뒤 후진하면서 발생하는 교통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조합 측은 운전자 면담 결과, 단순 부주의 외에도 △유도표지판 부재 또는 위치 불분명 △유도선 색 바램 및 마모 △안내시설 시인성 부족 등이 사고 원인으로 지적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전 유도표지판 설치 △유도선 도색 정비 △시인성 높은 안내시설 설치 △야간 및 악천후 대비 조치 등이 보완 요구사항이 제시됐다. 이를 통해 후진사고 예방은 물론, 과적 단속의 효율성 제고와 고속도로 안전관리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안전시설이 미비한 상태가 지속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유관기관의 현장 점검과 적극적인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또한, 인천대교(주)에서는 인천대교 고속도로 램프 구간에서 발생한 화물차 전도사고 사례를 공유했다. 화물결속 불량으로 트레일러가 방음벽과 표지판, 가드레일 등 다수의 시설물을 파손한 사고로, 해당 사례를 통해 화물차의 불량 운행에 대한 단속 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현재 한국교통안전공단 인천본부와 고속도로 유관기관은 관련 구간에서 지속적인 단속을 시행 중이며, 향후 단속 강화를 통해 유사 사고 예방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인천본부 안호영 본부장은“이번 협의체 회의는 각 기관이 도로시설 관련 현장의 문제점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함께 논의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라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실질적인 협력을 통해,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안전 확보와 교통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