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의 후보의 인천 공약에 ‘MRO 산업’과 ‘K-공항 수출 지원’이 반영된 가운데, 이를 실천하기 위해 정책 과제가 소개됐다.
28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인천광역시당 선거대책위원회가 시당 세미나실에서 개최한 ‘대한민국 경제의 출발, 인천입니다’세 번째 연속 간담회 ‘인천공항, 인천 경제의 새로운 동력!’에서 이희정 항공우주융합원 부원장(전 인천국제공항공사 부사장)은 “공항 중심으로 경제권을 형성해 인천이 성장할 수 있도록 연관 산업을 육성하고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부원장은 인천을 복합 MRO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키우기 위한 방안으로 ▲엔진 MRO 등 고부가가치 해외 MRO 기업 유치 ▲항공기 공용 페인트 행거 설립 ▲항공정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원 건립 ▲국제항공기구 유치 등을 제시했다.
이어 이 부원장은 “인천에 항공기업이 400여 개가 있는 만큼, K-공항 수출의 주축이 될 인천공항과 함께 해외에 동반 진출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하는 동시에 인천공항과 항공기업 간 협력기구를 설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인천미래항공교통(I-UAM)의 상용화 로드맵을 완성, UAM 상용화로 도서 지역 접근성을 개선하는 한편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도 준비하자고 제안했다.
허종식 공동선대위원장은 “인천 경제의 성장축을 자동차(GM대우), 항만에 이어 바이오, 해상풍력, 공항 등 지속적으로 확장시켜야 한다”며 “MRO와 공항 수출 공약을 계기로 인천 항공 기업에 대한 지원 및 육성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교흥 상임선대위원장은 "MRO 산업은 인천의 미래 먹거리로 부품·인력·R&D 3박자를 갖춘 MRO 클러스터 조성이 필요하다”며 "제가 대표발의한 인천발전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해 공항경제권 개발을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남석 상임선대위원장은 “이재명 후보가 인천 10대 공약 중 1순위로 인천공항을 강조한 만큼, 시당 차원에서도 공약을 실천하기 위한 정책 논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며 “무엇보다 ‘인천시민 이재명’의 약속이기에 꼭 현실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항공기업 관계자들은 인천에서 공항 관련 논의의 장이 턱없이 부족했다며, 일제히 지원 방안을 요청했다.
샤프테크닉스케이 유홍상 이사는 “인천이 대한민국 MRO 산업의 주체 도시로 제격”이라며 “관련 산업의 1차 주체 뿐 아니라 협력업체 등이 집적화될 수 있는 클러스터 구성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자금 지원 및 MRO 복합단지 일대를 자유무역지대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베셀에어로스페이스 김치붕 대표는 “국내 항공산업 활성화 정책은 관련 인프라 구축에서 시작된다”며 “도서 지역이 풍부한 인천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UAM과 관련된 시험인프라를 인천이 주도적으로 구축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다윈프릭션의 이범주 부사장은 “국토부 MRO 과제로 추진 중인 ‘보잉737의 브레이크패드 연구개발’예산이 부족해 추경을 통해 확보해주길 바란다”며 “MRO산업 클러스터 내 UAM의 부품공급체계(supply chain) 구축 또한 정부의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티웨이항공 황영조 상무는 “인천공항은 국내 지방공항과 연계된 내항선이 많이 부족하다”며 “지방공항과의 내항 연계가 확대될 경우, 지방 거주자 등이 인천공항에서 해외를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에스제이테크 황환철 연구소장은 “한국은 항공정비 등 기술을 대부분 외국에 의존, 국내 기업이 관련 기술을 축적하는 데 큰 애로가 따른다”며 “자체기술 개발 등에 정부가 적극 관심을 가지고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