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기선 기자 ] 공명선거실천 시민운동협의회(이하 공선협)와 시민단체는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선관위에 철저한 선거 관리를 촉구했다. 공선협은 30년 넘게 공명선거 정착을 위해 노력해온 단체로, 선관위는 부정선거 음모론 등 해소를 위해 철저한 선거 관리가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공선협과 시민단체들은 유권자들에게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반드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라”고 촉구하며 ▲후보자의 정책, 도덕성, 가치관 등을 검증한 “바른 선택” ▲“후보자들 간의 흑색선전과 정쟁을 중지 ▲각 정당과 후보자는 국민만 바라보는 정책선거 ▲언론을 향해 공정한 보도를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공선협과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중앙회, 환경단체 글로벌 에코넷, (사)자전거사랑전국연합회, 국민연대, 국민생명 안전네트워크 등 다양한 시민단체가 함께 참여하여 진행되었다. 이들은 “부정선거 의혹이 없는 선거 관리를 통해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한 연대는 시민사회가 공명선거를 위해 함께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에서 박문용 공선협 상임공동대표는 “우리는 지난 1987년 대통령선거 이후 시민운동을 시작하여, 1991년 정식 발족한 이후로 공명선거를 위한 감시 활동을 지속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선거 과정과 개표과정에서의 불법 및 부정행위를 감시하고 고발하는 활동을 통해 공명선거 정착에 이바지해왔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발언은 시민단체들이 공명선거를 위해 얼마나 오랜 시간 동안 노력해왔는지를 잘 보여준다고 밝혔다.
김선홍 상임공동대표 겸 집행위원장은 “2015년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에서 부정선거가 거의 소멸하였다고 판단하고, 공선협 또한 주로 공명선거 캠페인과 시민 투표 참여 활동으로 전환해왔다”고 언급했다. 그는 “민주주의의 출발점은 공명선거이며, 그 신뢰와 힘 역시 공명선거에서 나온다”고 강조하며, “모든 국가의 명운이 공명선거에 걸려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공명선거가 민주주의의 근본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김 상임공동대표는 “선관위는 탄핵당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임명한 선관위원장조차 불신하고 부정선거를 의심해 선관위에 계엄군을 투입한 상황”이라며, “이런 부정선거 음모론에 선관위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부정선거의 불씨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대선에서는 철저한 선거 관리로 선관위가 부정선거 의혹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선관위가 이번 대선에서 신뢰를 회복할수 있는 기회임을 의미한다….
이근철 국민연대 대표는 “지난 20대 대선에서 코로나 19 확진자와 격리자를 대상으로 한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이 있었다”며, 국민의 불신과 혼란은 “선관위 직원 채용 비리, 소쿠리투표 등 선관위가 자초한 것”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이번 21대 대선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